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최저임금위원회 2026 최저시급 최저임금 결정, 인상율(+최저임금계산기)

by 꿀대리님 2025. 7. 11.

 

2026년 최저임금, 시급 1만320원으로 결정됐어요!


다가오는 2026년의 최저임금이 결정됐습니다. 매년 이맘때쯤이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중요한 소식인데요. 특히 알바생, 비정규직 근로자, 소상공인 등 다양한 계층에 영향을 주는 만큼 이번 최저임금 결정은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어요.

2026 최저시급 최저임금 결정
2026 최저시급 최저임금 결정

 

이번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이 어떻게 결정됐는지, 인상률은 어느 정도인지, 그리고 실제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인지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.

 

최저임금이란 무엇일까요?

먼저 간단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! 최저임금이란?
정부가 법으로 정해놓은 임금의 최저 수준을 말해요. 즉, 사용자는 이 금액 이상을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한다는 것이죠.

최저임금은 해마다 바뀌는데, 이를 정하는 곳이 바로 ‘최저임금위원회’입니다.

노동자 측, 사용자 측, 그리고 공익위원들로 구성돼서 각계각층의 의견을 반영해 최종 결정을 내립니다.

출처: 최저임금위원회

 

2026년 최저임금, 이렇게 결정됐어요!

2025년 7월 10일, 정부세종청사에서는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가 열렸습니다. 바로 이 자리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이 결정됐는데요, 2026년 시급 10,320원으로 최종 의결됐습니다.

📌 참고로,
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030원이었어요.
이번 인상액은 290원, 인상률로 따지면 2.9%가 오른 거랍니다.

근로자 측은 처음에 4% 인상된 10,430원을 요구했고,
사용자 측은 2% 인상된 10,230원을 제안했어요.
양측 입장 차이는 200원으로 비교적 좁혀졌고, 결국 중간 수준인 10,320원으로 의견이 모였습니다.

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, 이번 결정이 표결 없이 ‘합의’로 이루어졌다는 점이에요. 이런 경우는 정말 드물답니다!

 

📌 실제로는 2009년 적용 최저임금을 정한 2008년 이후 무려 17년 만에 나온 합의 결정이었고,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단 8번째 사례라고 해요.

 

2025년까지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

출처: 최저임금위원회

 

시급이 10,320원이면 월급은 얼마일까요?

시급이 정해지면 가장 궁금한 게 바로 월급으로 얼마를 받게 될까? 하는 부분인데요.

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계산하면 이렇게 됩니다.

📌 2026년 월 최저임금
➡ 시급 10,320원 × 주 40시간 × 4.345주
= 약 2,156,880원

즉, 매달 약 215만 원 이상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거예요.
(※ 위 금액은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환산액 기준입니다.)

 

아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최저임금 바로 계산해보세요.

출처: 고용노동부

 

이번 합의가 가지는 의미는?

최저임금 협상은 늘 팽팽한 줄다리기였지만, 이번에는 비교적 차분한 논의와 타협을 통해 합의점을 찾았다는 데 의미가 있어요.

📌 노동계 입장에서는
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을 고려해 보다 높은 인상을 원했지만,

 

📌 사용자 측에서는
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이유로 완만한 인상을 주장했죠.

이런 상황에서 적정 수준의 타협점을 찾았다는 것은 앞으로 노사 간의 건설적인 소통 분위기 형성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.


최저임금이 결정됐다고 바로 적용되는 건 아니에요. 2026년 1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되며, 이전까지는 고용노동부의 고시 절차와 관련 안내가 진행됩니다.

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, 모든 사업장이 최저임금 이상을 지켜야 한다는 것!
이를 위반하면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고, 근로자는 임금 차액을 청구할 권리가 있어요.

혹시라도 내 급여가 최저임금보다 적은지 궁금하다면,
고용노동부 홈페이지‘최저임금 계산기’ 등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.